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위는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신공항 관련 부산시의 책임을 촉구했다. [사진=시정대안특위 제공]
[메가시티뉴스 송원석 기자]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개항은 부산시민 기만이었나.
국비 10조가 투입되는 가덕도신공항은 지난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 단계에서 '2029년 조기개항'을 외친 국책사업이다.
하지만 28일 가덕도신공항부지조성 공사 수의계약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국토교통부에 108개월(9년)의 공사 기간이 필요하다는 기본설계안을 제출할 예정으로 알려져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기간인 84개월에서 2년이나 늘어나는 것으로 드러나 지역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일제히 책임 소재를 묻고 나섰다.
가장 먼저 반발하고 나선 곳은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이다. 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특위는 최인호 위원장을 선두로 "박형준 부산시장은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지라"고 촉구했다.
특위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주장하는 가덕신공항 건설기간 108개월은 업체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엉터리 용역 결과"라면서 "기본설계 용역에서 국토교통부는 84개월 준공 지침을 줬고, 부산시도 이에 동의 했다"면서 부산시장과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또 특위는 "가덕도신공항 기본설계(안)을 참고하면 현대건설은 9년인 108개월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상 35년 준공을 말하는 것"이라면서 "이것이 사실이라면 윤석열·박형준·박상우는 2029년에 개항 가능하다고 부산시민을 기만한 것"이라고 직격했다.
특위는 앞으로의 행동도 예고했다. 이들은 "가덕신공항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고 박형준 기만행정 규탄 서명운동에 돌입한다"고 밝히면서 "2029년 개항 불가시 박형준·박상우 사퇴운동 전개할 것"이라고 정쟁을 예고했다.
가덕도신공항을 둘러싼 문제는 이 뿐만 아니다.
시정대안특위는 보상 문제도 짚었다. "보상 감정평가 과정에서 '노룩 감정'이라는 부실한 절차가 자행됐음에도, 보상을 책임지는 기관인 부산시는 이를 책임지기는 커녕 국토부에 오히려 그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면서 부산시의 무책임을 지적했다.
최인호 위원장은 이번 사태를 통해 "부산시가 무능, 무책임, 무도덕이라는 3무(無) 행정에 이어 부실공사, 부실용역, 부실감독이라는 3불 시정에 빠져 있음을 다시금 확인했다"면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향해 "부실감독과 책임 회피의 무책임한 시정을 거듭한 것에 대해 즉각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부산특위는 "부산시정의 난맥상을 결코 방치하지 않을 것이며, 부실 감시 시의회 추궁, 시민 감사 청구, 수사당국에 수사 요청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철저히 진상을 규명하고 필요한 대책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부산시도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이 입장문을 내고 "정부 정책을 신뢰하고 가덕도신공항을 기다려 왔던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는 결과를 전하게 되어 마음 깊이 안타깝고 송구한 심정"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번 일이 자칫 정쟁의 도구로서 사업 지연과 소모적인 논쟁의 단초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부산시는 △적정 공사 기간과 현장 여건, 시공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건설 로드맵 제시 △추가적인 사업 지연이 없도록 책임 있고 신속한 후속 조치 △안전하고 완전한 하늘길을 여는 데 집중 등을 정부에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개항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지자 시민단체들도 잇따라 부산시를 성토하는 기자회견과 행동에 나설 것으로 예고하고 있어 부산시의 책임론이 더욱 거세질 예정이다.